희토류 시장의 미래, 미국과 중국의 경쟁

Gufinance

·

2025. 1. 30. 21:22

반응형

희토류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양국의 자원 매장량과 공급망 전략을 분석하여 향후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본다.

1. 희토류란 무엇인가?

희토류는 전기차, 스마트폰, 방위산업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필수적인 17개의 금속 원소를 지칭하며, '산업의 비타민'으로 불린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은 희토류 자원 확보와 공급망 구축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2. 희토류의 매장 현황과 경제적 가치

현재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약 1억 3천만 톤으로 추정되며, 주요 생산국들은 중국, 미국, 호주, 러시아 등이다.

주요 국가별 희토류 매장량


중국: 34%
미국: 약 11%
호주: 약 18%
러시아: 약 5%
희토류의 경제적 가치는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급성장과 맞물려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희토류의 연간 생산 가치는 약 180억 달러에 달한다.


3. 미·중 희토류 경쟁: 시장의 양대 축

중국의 우위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60%, 가공 능력의 87%를 차지하며, 희토류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이러한 우위를 바탕으로 중국은 희토류를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하여 국제 무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중국은 일본과의 영토 분쟁 시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여 정치적 도구로 사용한 바 있다.

미국의 대응

미국은 이러한 중국의 독점을 견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미국과 인도는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확대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하여,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호주, 캐나다 등과의 협력을 통해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국내 생산 능력을 강화하는 등 대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4. 숫자로 보는 경쟁 구도


중국: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60%, 가공 능력의 87% 차지

미국: 최근 발견된 110만 톤의 희토류 매장량, 이는 미국의 연간 소비량의 118배
희토류 시장 가치: 2023년, 희토류 시장의 연간 생산 가치는 약 180억 달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