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 문제 : 원인, 해결책, 시사점 살펴보기 (밀레니엄버그)
Gufinance
·2023. 8. 10. 01:40
Y2K 문제란 무엇인가?
Y2K 문제란 연도를 끝의 두 자릿수만 인식하게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이 2000년이 되면 '00'으로 인식해 1900년과 혼동이 일어나는 문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한 사회적 대혼란을 '컴퓨터 2000년 연도표기 문제'라고 부르는데 천 년대(代)의 오류란 의미에서 '밀레니엄버그'라고도 하며 말을 줄여 'Year(연도)'의 'Y'와 1천을 뜻하는 'Kilo'의 'K'를 붙여 'Y2K' 문제라고도 합니다.
Y2K 문제의 원인
Y2K 문제는 컴퓨터의 메모리와 기억 장치의 값이 비쌌고 대부분의 자료 처리는 80열의 레코드 안에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했던 천공 카드에서 이루어져 데이터 입력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야 했던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를테면, 1963에서 맨 앞 두 자리 숫자를 빼고 63만 저장하면 그만큼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이 되면 앞의 두 자리를 뺀 수는 00이 되는데, 이를 1900년으로 해석해야 할지, 2000년으로 해석해야 할지 컴퓨터가 판단하지 못해 오류를 발생시키고, 이는 전세계 컴퓨터에 일괄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문제의 파급력
Y2K 문제는 사회 전반에서 2000년 1월 1일 자정 이후에 산업이나 경제, 전기 등 중단이 치명적인 곳에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를 낳았고, 최대 핵무기가 발사될 수 있다는 심각한 예측과 함께 신문 및 방송 매체의 영향으로 상당한 파장을 낳았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회사에선 공포심을 이용해 'Y2K 재난 대비 물품 세트' 등을 판매해서 이득을 많이 거두기도 했습니다.
Y2K 문제 해결책
Y2K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는 여러 대응책들이 있었습니다. 전 세계의 정부 및 IT 업계에서는 비상사태가 일어났고,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이 Y2K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에서는 의료분야 Y2K 문제 대응 계획 수립 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에서 의원급 의료기관은 시·도에서 각각 담당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의원급 의료기관을 위한 Y2K 문제 대응 안내서를 제작하여 보급하였습니다.
정부는 철저한 점검을 실시해 전기나 수도 등 국민생활 필수요소들의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정부 각 부처와 공공기관, 대기업의 전문인력 등 50만 명 이상도 함께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결론과 시사점
정부의 노력부터 중소업체의 컴퓨터가 Y2K 문제를 일으키면 정보통신업체들이 공동으로 구성한 기술지원단이 무료로 해결해 주는 등, 이러한 노력들 덕분에 막상 2000년이 오자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지방에서 100년치 요금이 발급된 사례가 나오거나, 한국의 어느 동사무소에서 컴퓨터가 1900년이라고 공문을 잘못 작성하는 등 제대로 오류를 수정하지 못한 사례 정도가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Y2K 문제의 미미한 피해를 고려할 때 우리는 어떠한 위기가 닥치더라도, 체계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귀속됨을 명시합니다.
구피넌스, GUFI 제공
'일상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의 역사: 여행자부터 디지털 시대까지 (0) | 2025.02.02 |
---|---|
동양의 주역 장펭춘 소개 : 세계 인권 선언 75주년 (1) | 2023.12.06 |
GUFI - 한눈에 보는 펩시 로고 변천사 (1) | 2023.04.11 |
미국이 미터법을 안쓰는 이유 (0) | 2023.03.29 |
2월이 28일 까지만 있는 이유는? (0)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