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03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397주 매도

Gufinance

·

2025. 2. 4. 09:00

반응형

ISA 계좌, 직투 계좌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397주 매도

 

24년 2월부터 적립식으로 투자한 일본리츠를 전량 매도했다. 

매매차손은 약 8만원, 2.5개월분의 배당 수준이다.판매한 이유는 일본 리츠의 매력이 더이상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 리츠를 매도한 이유

 

매도한 이유는 두가지다.

도쿄.

하나. 일본의 금리정책이 변하기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올해 들어 금리를 0.5% 수준으로 격상, 이후 두 차례의 0.25%p 금리 인상을 예고한 바 있다. 초 저금리 시대에 익숙해진 일본 부동산이 40년전 가격 수준을 회복했다는 소식이 이어지고 있지만 올라가는 금리에 부동산 수익률은 고레버리지 대출 이자에 녹을 것으로 판단된다.

 

 

2025. 1월 일본 금리 인상과 일본리츠 투자판단

일본은행이 17년 만에 단기 정책금리를 인상하며 금융정책 정상화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2025년 1월, 일본은행은 금리를 기존 0.25%에서 0.5%로 인상하며 지난 3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

gufinance.tistory.com

 

 

 

둘. 금리 인상에 따라 한일금리차에 따른 환헷지 배당이 감소세를 탔다.

 

일본리츠 배당률 8.5% 중 3.5%한일 금리차에 따른 환헷지 배당이다. 한국의 금리 인하 0.25%p, 일본의 두차례 금리 인상 0.5%p를 합하면 벌써 0.75%p의 감소가 발생한다. 이로인해 주가는 12000원 수준에서 현재 11000원 수준까지 하락했으며, 배당률은 다시 원점이긴 하다.

 

하지만 그건 신규 진입할때나 의미있는 투자 아이디어이고, 기존 투자자는 계속 배당금으로 손해를 만회하는 상황에 이른다. 안정한 자금, 현금흐름을 원하는 배분에 있어선 차라리 고배당을 포기하고 적정한 배당에 배당성장이 가능한 schd에 투자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수준이다.

 

향후 자금 사용 계획

 

나스닥 위켄드의 이해와 활용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나스닥 위켄드라는 용어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미국 주식시장이 정규 거래 시간을 마친 후에도, 주말 동안 시장 심리와 해외 주요 뉴스의 영향을 반영하여 예상 가격

gufinance.tistory.com

 

나스닥 위켄드 (주말간 나스닥 흐름) 의 정세로 보아 나스닥 하락의 징조가 보이고 있다. isa 계좌에 기계적으로 일부를 적립하되 공격적인 매수로 대응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