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 수도권만 0.2%p 인상…지역별 맞춤형 대출 정책 강화
Gufinance
·2025. 2. 24. 23:30

정책 변경 배경과 주요 내용
정부는 무주택자들이 주택 구입 및 전세 자금을 저리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대출의 금리를, 지역별 시장 상황에 맞게 차등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 한해 금리를 0.2%포인트 인상하는 한편, 지방의 미분양 주택 구입 시에는 0.2%포인트 감면 혜택을 부여하는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 조정 세부 내용

국토교통부는 주택도시기금의 구입자금(디딤돌 대출)과 전세자금(버팀목 대출)의 금리를 다음달 24일 이후 신청분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출 종류 | 현재 금리 | 수도권 적용 후 금리 | 특이 사항 |
---|---|---|---|
디딤돌 대출 | 연 2.65~3.95% | 연 2.85~4.15% | 수도권 지역에 한해 0.2%p 인상 |
버팀목 대출 | 연 2.5~3.5% | 연 2.5~3.5% (수도권에서만 0.2%p 인상 적용) | 수도권 지역에 한해 금리 인상 |
수도권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 | 연 1.6~4.3% | 연 1.8~4.5% | 수도권 지역에 한해 0.2%p 인상 |
지방 미분양 주택 구입 시 혜택 | - | 0.2%p 감면 | 지역별 맞춤 혜택 제공 |
우대금리 혜택 축소
기존 디딤돌 대출은 다자녀, 생애 최초, 신혼부부 등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1%p까지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했으나, 앞으로는 최대 0.5%p까지만 적용된다. 이는 정부가 정책 대출의 재정 건전성과 대출 지원의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책 변경의 의의와 기대 효과
이번 금리 차등 조정은 지역별 부동산 시장의 상황 차이를 반영하여, 수도권과 지방의 무주택자 지원에 있어 보다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도권에서는 전세자금 마련이 어려운 상황에서 금리 인상을 통해 금융 건전성을 유지하고, 지방에서는 미분양 주택 구입 시 감면 혜택을 통해 지역 주택 공급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전망
이번 대출 금리 조정은 정부의 주택 금융 정책이 시장 상황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정책 효과와 함께, 무주택자들의 주거 안정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금융권에서는 이를 토대로 다양한 대출 상품 개선과 지원 방안 마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Financial Scope -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하락, 월세의 부상: 주택 임대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1) | 2025.02.27 |
---|---|
외국인 임대인, 전세보증 사고 시 바로 강제경매 (HUG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0) | 2025.02.24 |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 3천 호, LH 직접 매입 추진…6년 임대 후 분양 전환 (1)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