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투자자 워렌버핏의 팩터 투자법 - Gufinance
Gufinance
·2023. 5. 23. 05:36
팩터 투자란?
주식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팩터)을 찾아서 그에 따라 투자하는 전략
팩터 투자(factor investing)란 주식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팩터)을 찾아서 그에 따라 투자하는 전략이다.
저가주, 고품질주, 낮은 변동성주, 고배당주 등이 대표적인 팩터이다.
팩터 투자는 시장 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 초과수익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고 있다.
워렌 버핏의 팩터 투자
워런 버핏은 세계적인 투자의 귀재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가치투자(Value Investing)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자신이 소유한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주식을 통해 엄청난 부를 쌓았다.
그러나 버핏의 투자 방식은 단순히 가치투자라고 규정하기 어렵다.
그는 여러 가지 팩터를 고려하여 투자를 한다고 볼 수 있다.
그의 팩터 투자의 비밀은 무엇일까?
영국의 금융 전문 매체인 시티와이어(Citywire)는 최근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그가 어떤 팩터에 기반하여 투자를 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버핏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팩터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가주(Low Price)
"우리는 저렴한 가격에 좋은 회사를 사는 것을 좋아한다"
저가주란 주가가 저렴한 주식을 말한다. 저가주는 일반적으로 주가수익비율(Price to Earnings ratio, P/E)이나
주가순자산비율(Price to Book ratio, P/B) 등으로 측정한다.
저가주는 고평가된 주식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버핏은 자신의 편지에서 "우리는 저렴한 가격에 좋은 회사를 사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고품질주(High Quality)
"우리는 우수한 경영진과 함께하는 것을 좋아한다"
고품질주란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내는 주식을 말한다. 고품질주는 자기자본수익률(Return on Equity, ROE)이나 순이익 마진(Net Profit Margin) 등으로 측정한다.
고품질주는 시장의 변동에도 강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버핏은 자신의 편지에서 "우리는 우수한 경영진과 함께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낮은 변동성주(Low Volatility)
"우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을 좋아한다"
낮은 변동성주란 주가의 변동 폭이 작은 주식을 말한다. 낮은 변동성주는 베타(Beta)라는 지수로 측정한다. 베타는 주식의 변동성과 시장의 변동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베타가 1보다 작으면 낮은 변동성주라고 할 수 있다.
낮은 변동성주는 위험을 줄이면서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
버핏은 자신의 편지에서 "우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저가주(Low Price)
"우리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를 좋아한다"
고배당주란 배당금이 높은 주식을 말한다. 고배당주는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로 측정한다. 배당수익률은 배당금과 주가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며, 배당수익률이 높으면 고배당주라고 할 수 있다.
고배당주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며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
버핏은 자신의 편지에서 "우리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를 좋아한다"고 말했다.
모멘텀(Momentum)
"우리는 시장에서 인기있는 회사를 사지 않는다"
모멘텀이란 주식의 가격 추세를 말한다. 모멘텀은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한 비율로 측정한다. 모멘텀이 높으면 주가가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모멘텀이 낮으면 주가가 계속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모멘텀 투자는 주가 추세에 따라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전략이다.
버핏은 자신의 편지에서 "우리는 시장에서 인기있는 회사를 사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시장에서 인기없는 회사를 사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하락 모멘텀에 따라 저가주를 매수하는 전략과 일맥상통한다.
교훈
워런 버핏은 역대 최고의 팩터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저가주, 고품질주, 낮은 변동성주, 고배당주, 하락 모멘텀 등 다양한 팩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그의 성공 비결은 단순히 팩터에 따른 기계적인 투자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그는 자신만의 철학과 원칙에 따라 꾸준하게 훌륭한 회사를 찾아내고 지속적으로 보유하였다.
그는 자신의 실수와 한계를 인정하고 학습하였다.
우리도 버핏의 통찰력과 겸손함을 배워 더 나은 투자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버핏의 투자철학에 대해 더욱 궁금한가요? 아래 링크에 준비해봤습니다.
관련 링크
이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귀속됨을 명시합니다.
구피넌스, GUFI 제공
'Financial Scope > 투자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 밀러의 투자철학 (1) | 2024.01.07 |
---|---|
인덱스펀드의 창시자 존 보글이 ETF를 부정적으로 생각했었던 이유 - Gufinance (0) | 2023.05.20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 Gufinance (0) | 2023.05.14 |
찰리멍거의 인내, 투자 명언 4가지 - Gufinance (0) | 2023.05.06 |
Philip Fisher, 성장주 투자의 아버지가 남긴 철학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