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M모건,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인수와 주가 영향 - Gufinance
Gufinance
·2023. 5. 6. 20:26
2023년 5월 1일, 미국의 제3대 은행인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 파산을 신청하고 JP모건체이스에 인수됐습니다.
이번 파산 사태는 어떻게 일어났으며, 투자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란?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은행으로, 1985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은행은 고소득 고객층을 대상으로 웰스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부동산 대출과 개인 대출에서 강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2023년 초부터 급격한 자금 부족에 시달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리퍼블릭 은행의 유동성 위기
미국 시장에서의 인건비 상승과 금리인상의 영향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수한 인재들을 고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경제가 회복되면서 인건비가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금리가 올라간 반면, 수익성이 저조한 리퍼블릭의 예금계좌에서는 점차 예금이 인출되기 시작했습니다.
큰손 고객의 '이탈'
금융위기와 유동성 불안이 가속화되자, 연준이 보장하는 은행 예금의 최대치인 250,000달러 이상의 대형 예금을 보유한 고객들이 다른 은행으로 자금을 옮기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FDIC가 보장하는 예금 보장 한도를 초과하기 때문으로, 큰손들은 더 안전하고, 더 수익성이 높은 은행의 계좌로 발을 옮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퍼스트 리퍼블릭의 몰락
결국,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2023년 5월 1일에 파산 신청을 하고, FDIC에 의해 인수되었습니다. FDIC는 이 은행의 자산과 예금의 대부분을 JP모건체이스에 판매했습니다. 이는 '제 3자 배정 방식’이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FDIC는 여러 은행들에게 입찰을 요청하고,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JP모건체이스에게 인수권을 부여한 것입니다.
JP모건체이스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자산과 예금의 대부분을 13.5억 달러에 인수했습니다. 이 가격은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자산가치의 약 6%에 해당합니다. JP모건체이스는 이 가격을 현금과 주식으로 결제했습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주들은 자신들의 지분을 JP모건체이스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었지만, 사실상 휴짓조각이 된 셈입니다.
이번 파산 사태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가와 투자자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가는 2023년 4월 30일에 15.06 달러였으나, 2023년 5월 4일에는 1.37 달러로 급락, FDIC 인수 발표 이후 0.35달러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90%의 폭락 후 90%의 재폭락이라는 치명적인 하락으로,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주들은 의 지분이 거의 소멸되었습니다.
JP모건의 약진과 행보
부동산 대출 사업의 강화
JP모건체이스는 부동산 대출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을 인수했습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부동산 대출에서 시장 점유율이 높았습니다. JP모건체이스는 이러한 부동산 대출을 자신의 자산으로 전환하고, 부동산 시장의 회복과 함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장 지배력의 확보
JP모건체이스는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수를 강행한 면도 큽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미국에서 제3대 은행으로, 많은 지점과 고객을 보유했습니다. JP모건체이스는 이러한 지점과 고객을 자신의 네트워크에 편입하고,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고, 현재 파산위기에 몰린 은행을 마치 백화점 쇼핑하듯 쓸어 담고 있습니다.
향후 행보
JP모건체이스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브랜드와 서비스를 유지할 계획입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지점과 고객은 그대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JP모건체이스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운영 방식과 비용 구조를 개선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마무리하며
이상으로 JM모건의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인수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번 사태는 미국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미국 은행 업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링크
이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귀속됨을 명시합니다.
구피넌스, GUFI 제공
'Financial Scope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노공업(058470) 1분기 실적 악화에 11.01% 급락, 주가 전망은? - Gufinance (0) | 2023.05.16 |
---|---|
2023 애플 90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 Gufinance (0) | 2023.05.07 |
2023. 05. 04 스타벅스(NASDAQ: SBUX) 주가 급락 원인과 투자자 여파 분석 (0) | 2023.05.05 |
삼성 갤럭시, 구글 검색 대신 빙으로 바꾸나? (0) | 2023.04.30 |
구글(알파벳) 1분기 실적 분석: 광고 부진에도 매출 상승, AI 신규 서비스 공개 예정 (0) | 2023.04.30 |